Korea Institution and Economics Association

한국제도·경제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제도와 경제


pISSN: 1976-3697

제도와경제, Vol.12 no.2 (2018)
pp.63~92

면세판매 특허제도의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 2013년 관세법 개정안과 재산권을 중심으로

윤상호

(한국경제연구원(KERI) 연구위원)

본 연구는 2013년에 개정된 면세판매 특별허가제도 관련 관세법 조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2013년의 관세법 개정안은 특허기간을 감소시키고 특 허의 갱신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면세 사업권에 귀속된 재산권을 대폭 축소시켰다. 따라서 면세특허 판 매권을 수익창출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축소시키고 면세점 사업에 대한 투자의 유인 구조를 왜곡시키는 부작용을 야기했다. 또한 공정거래법을 통해 추진되어야 하는 독점적 시장구조의 개선을 기 업 규모에 따른 면세판매 특허의 차별조항이라는 관세법의 개정으로 시도하고 있어 시장의 역동성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면세판매 특별허가제도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1) 우선 면세판매 특허의 기 간 제한을 폐지하고 항구적 면세판매 특허권을 보장해 특허권의 시장 내 거래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2) 면세판매 특허권의 추가 허가, 즉 신규 면세판매 특허권의 경우 면세점 매출규모 의 일정 증가에 따라 자동으로 면세판매 총 특허의 수를 증가시키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3) 면세판 매 시장에 독점적 시장구조로 야기되는 폐해가 존재한다면 면세판매 특허제도에 포함된 차별조항이 아 닌 공정거래법에 근거해 시정되어야 한다. 또한 (4) 미래 시장 환경에 대한 제한적 정보 하에 인·허가 를 실시해야 하는 특성 상 신규 면세판매 특허권 인·허가 제도에 가격 입찰제를 도입해야한다. 가격 입찰제와 함께 사후적 매매 등 재산권 범위를 확충하는 방안이 동시에 추진된다면 시장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국내 면세판매 시장으로의 탈바꿈이 가능할 것이다.

A Note on Special Permit Law for Duty Free Shops in Korea

SangHo Yoon

This paper evaluates the ‘2013 revision of articles’ on duty free shop special permit in the Customs Law in Korea, and prescribes the ways to improve it. According to this paper’s analysis, the 2013 revision has shrunk the domain of property right on special permit by shortening the term of special permit and disallowing its renewal. Thus, it has reduced the basis to fully utilize the innate value of special permit by distorting the incentive structure of investment on duty free shop. Furthermore, though the problem in market structure such as monopoly should be dealt by the fair trade act, the 2013 revision, by imposing the entry barrier to the large-scale business group to reform the duty free market structure, has undermined the dynamism of market. The problem of the 2013 revision may be resolved by revising the Custom Law again as follows: (1) The special permit should be given permanently by abolishing the term limit so that the special permit can be exchanged freely within the market. (2) The number of special permits should be automatically incremented, interlocked with the increase in the size of duty free market. (3) Should any failure from duty free market structure exists, it should be resolved based on the Fair Trade Act, not the entry barrier clause in the Customs Law. (4) As the special permit is always granted with the limited information and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newly issued special permits should be allocated through the price bidding system. If the price bidding system is introduced with simultaneously allowing the post exchange of special permits, Korea would be able to have the duty free market that is properly governed by the market force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