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ion and Economics Association

한국제도·경제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제도와 경제


pISSN: 1976-3697

제도와경제, Vol.14 no.3 (2020)
pp.123~145

DOI : 10.30885/RIE.2020.14.3.123

OECD 국가의 포용성장 결정요인 분석

노영진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조교수)

김진웅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부교수)

본 논문에서는 2004~2015년 OECD 23개 국가자료를 사용하는 국가별 패널분석(country-panel analysis)을 통해 ‘포용성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노영 진·김진웅(2019)에서 구축한 OECD 23개 국가의 포용성장지수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그 구성요소인 노동생산성, 소득형평성, 고용률 등과 관련된 정책변수들을 설명변수로 사용하는 국가별 패널분석 모형 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노동생산성과 고용률, 대외개방도에 관한 정책변수들은 포용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소득형평성에 관한 정책변수들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성장과 평등을 추구하는 포용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용률을 제고하는 정책과, 그리고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실업, 보건, 교육 등 경제 내 필수적이며 취약한 부분에 투 입되는 정부지출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clusive Growth and Its Determinants – from the Evidence of OECD Countries

Ro, Young-Jin

Kim, Jin Woong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what policy variables would affect the inclusive growth. Following Ro and Kim(2019), we construct 23 OECD countries’ inclusive growth index that is defined as a sum of the growth rate of labor productivity, employment rate and the Gini index subtracted from one. Using this annual inclusive growth index from 2005 to 2014, we employ cross-country panel analysis and find that policy variables related to labor productivity and employment rate mostl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inclusive growth. However, variables related to the income equality a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inclusive growth. These results imply that government policy should be more focused on improving its productivity and employment rate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its expenditure to achieve an inclusive growth.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