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ion and Economics Association

한국제도·경제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제도와 경제


pISSN: 1976-3697

제도와경제, Vol.15 no.3 (2021)
pp.133~166

DOI : 10.30885/RIE.2021.15.3.133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주택가격 요인과 가격격차 요인분해에 관한 연구

허원제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

오경수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

본 연구는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주택가격을 결정하고, 두 지역 간의 주택가격 격차를 유발하는 요인과 주택이 위치한 지역(수도권·비수도권)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주택가격은 모든 주택 유형에서 지속적으로 큰 격차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격차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왔다. 격차를 유발하는 요인의 유의성과 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한 주택가격 격차 요인들의 한계효과(marginal effect)를 살펴 보았으며, 주택가격 격차에 대하여 요인분해(decomposition)를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모든 주택 유형에서 10~20%의 높은 주택가격 을 형성하였으나, 서울의 한계효과를 도출할 경우 효과는 46~120%로 나타났다. 즉, 수도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주택가격의 차이는 대부분 서울지역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결과임을 보여주고 있다. 요인분해 분석에서는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들에 의해 기인하는 부분 을 제외한 차별적 주택가격의 격차는 16.86%(아파트)~28.01%(다세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주택가격 격차를 완화할 목적의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주택 유형과 지역에 대해 일괄적인 정책을 수행하기보다는 특성화된 정책을 발굴하여 수행하는 것이 수도권·비수도권 간 주택가격 격차 완화에 효율적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Analysis on Factors on and Gap in Housing Price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Wonjea Huh

Kyungsoo O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where the house is located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and determine the housing price gap caused by the location. The large gap in housing prices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continues in all housing types, and this gap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n order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factors causing the disparity and the proportion of each factor, the marginal effect of the factors of the housing price disparit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was examined, and decomposition was performed on the housing price dispar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pital area has 10~20% higher housing price in all housing types compared to the non-capital area, but through deriving the marginal effect of Seoul, the effect of Seoul was found to be 46~120%.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gap in housing prices caused by capital areas is mostly caused by the relatively large influence of the Seoul area. In the factor decomposition analysis, the discriminatory housing price gap, excluding the part caused by the characteristic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price, was 16.86%(apartment) to 28.01% (multi-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establish policies aimed at alleviating the housing pric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s, it is better to discover and implement specialized policies rather than carrying out comprehensive policies for different housing types and regions. It suggests that it can be effective in easing the housing pric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