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학파 경기변동이론의 실증분석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오스트리아학파 경기변동이론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한국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EPPI(= 초기단계 PPI/중기단계 PPI), LPPI(= 후기단계 PPI/중기단계 PPI), SLR(장단기 금리 차이 = 기준금리 - 10년물 국고채 금리) 간 장기균형관계를 분석하였다. 우리가 이용하는 변수들은 불안정한 시계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로 인한 변수들의 장기적 관계에 대한 소중한 정보 상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추정, 그리고 충격반응 함수 추정을 통해 실증분석을 했다. 그 결과 오스트리아학파 경기변동이론의 타당성이 어느 정도 입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우 불황의 대책은 정부나 중앙은행의 간섭이 아니라 ‘자유시장 의 구축’, 즉 ‘정부와 중앙은행의 시장 간섭 배제’가 더 타당할 것 같다. 만약 불황 극복을 위해 정부와 중앙은행이 불황 과정에 개입하는 것은 과오투자와 과소비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과오투자 및 과소비에 따른 거품을 또다시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ustrian Business Cycle Theory: The Case of Korea
To test the validity of the Austrian Business Cycle Theory, I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using Korean data. I analyze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EPPI(= early stage PPI/medium stage PPI), LPPI(= late stage PPI/medium stage PPI), and SLR(= basic rate – NB 10y rate). Since the variables I use are likely to be unstable time series, we use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estimation, and Impulse-response function estim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losing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long-run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Austrian business cycle theory was proven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eems that in Korea's case, the solution to the recession is not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or central bank, but rather the establishment of a free market, that is, excluding market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and central bank. If the government and the central bank intervene in the recession process to overcome the recession, it may prevent adjustments to malinvestment and overconsumption,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factor in creating new bubbles due to malinvestment and over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