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ion and Economics Association

한국제도·경제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제도와 경제


pISSN: 1976-3697

제도와경제, Vol.13 no.1 (2019)
pp.107~130

DOI : 10.30885/RIE.2019.13.1.107

Rational Ignorance versus Rational Informedness : Perspectives of the Theory of Rational Ignorance

Sung-Kyu Le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And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Sanghack Le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Commerce, Kookmin University, Korea.)

공공재, 공무(公務)나 공공정책의 특성상 일반 시민들은 이들에 대해 잘 알아보려고 하지 않음으로써 ‘합리적 무지’ 상태에 머물러 있게 된다. 본 논문은 합리적 무지“론”의 관점에서 합리적 무지(無知)와 합리적 유지(有知)를 대비하고, 그 폐해를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무지 현상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한 후, 합리적 무지의 주요 폐해를 지적하고, 마지막으로 일반 시민들이나 투표자들을 합리적 유지로 이끌기 위한 ‘유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합리적 무지 “현상”을 공공사업의 이익과 비용 분포, 불완전 정보, 투표자들의 합리적 무지 유인, 정치적 성공 등의 관점에서 설명한 다. 둘째, 합리적 무지론을 ‘투표 가치’와 ‘집단행동의 논리’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무지의 폐해를 민주주의의 역설, 이념, 이익 강탈 등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일반 시민들의 합리적 무지는 민주주의의 역설인 ‘이익의 불평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수가 다수의 이익을 ‘강탈’하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일반 시민들은 공무에 대해 합리적으로 유지(有知)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대신 공무 결정시 ‘이념’ 에 의존하게 된다. 본 논문은 민주주의가 잘 작동하려면 일반 시민들이나 투표자들이 정책과 공무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습득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합리적 무지 대 합리적 유지 : 합리적 무지론의 관점

Sung-Kyu Lee

Sanghack Lee

Typical citizens fall into the state of rational ignorance as they have no incentive to study the nature of public goods, public affairs or public policies in detail. This paper contrasts ‘rational ignorance’ with ‘rational informe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rational ignorance, and identifies its negative effects. To this end, we explain the “phenomenon” of rational ignorance by two approaches, and then examine its major negative impacts. Then,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incentives for typical citizens or voters to be rationally informed. First, we explain the phenomenon of rational ignorance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he benefits and costs of public programs, imperfect information, incentives for voters to be rationally ignorant, and political success. Second, we examine the theory of rational ignorance based on both the vote value and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Finally, we identify the negative effects of rational ignorance in terms of the democratic paradox, ideology, and interest predation. Rational ignorance of typical citizens not only leads to the inequality in benefits distribution, which is the paradox of democracy, but also allows a small number of people to rob many citizens of their interests. In addition, typical citizens tend to rely on the ‘ideology’ that they have adopted when they make decision on public affairs, rather than trying to become rationally informed of them. Thus, the analysis of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at, for democracy to function properly, typical citizens and voters should make due efforts to be rationally informed.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