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ion and Economics Association

한국제도·경제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제도와 경제


pISSN: 1976-3697

제도와경제, Vol.17 no.3 (2023)
pp.1~39

DOI : 10.30885/RIE.2023.17.3.001

한국의 산업혁명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강정모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본 논문은 ‘정책으로 증강된 인적자본’이 한국의 산업혁명에 미친 영향을 정책 및 제도적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영국의 산업혁명이 산업화로 부유하게 된 농민들의 수요를 기반으로 민간기업들 이 경쟁적으로 주도하였다면, 한국은 수출수요에 입각한 정부주도의 계획으로 제1·2·3차 산업혁 명을 거의 동시에 병행하였다. 모든 산업혁명은 개방과 혁신의 결과였고, 혁신의 원천은 과학기술이 었으며, 경제와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기본적 요인은 기회를 인식하고 포착하는 능력 부족과 기회를 이용하려는 동기 결여에 있다. 개방경제에서 기회의 포착은 통찰력과 역량에 따라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내생적이다. 경제발전이론은 인적자본, 정보 및 경제적 동기에 관한 이론이다. 인적자본의 경제적 정의는 기회를 인식하고 포착하며 성취하는 능력이다. 즉, 정보를 획득하고 소화하는 능력 및 어떤 경제적 목표를 성취하는 사람의 역량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경우 경제발전은 “정책으 로 증강된 인적자본”(policy-augmented human capital)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고찰하는 데 있다. ‘정책으로 증강된 인적자본’이란 경제발전 방안을 가진 유능한 지도자가 있는 인적자본을 말한다. 이러한 인적자본과 효과적인 정책 및 전략의 결합은 잠자던 혁신적 힘을 일깨워 국가의 잠재력을 분출할 환경을 창출한다. 한국의 산업혁명은 경제발전을 뒷받침하는 5개의 명제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정책으로 증강된 인적자본’은 생산물의 전문화, 무역의 본질과 방향 및 경제성장의 속도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한 국가의 부(富)는 인적자본의 함수인 ‘산업포트폴리오’(industrial portfolio)의 크기와 구성에 의해 결정된다. 셋째, 산업포트폴리오의 크기와 구성은 경제정책의 의도된 결과이다. 넷째, 어떤 경우에는 번영하는 경제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민주주의를 달성할 가능성이 더 높은데, 한국의 인과관계의 방향은 대체로 경제적 번영에서 민주주의로 이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으로 증강된 인적자본이 필요조건이라면, 정치적 및 사회적 안정성은 충분조건이다.

How did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come about?

Jung Mo Kang

The paper attempts to institutionally examine the effect of policy-augmented human capital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was competitively led by private companies based on the demand of farmers who became wealthy through industrialization. On the contrary, Korea carried out the 1st, 2nd and 3rd industrial revolutions almost simultaneously with government-led plans and based on export demand. All industrial revolutions were the result of openness and innovation, and the source of innovation was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becam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basic factors impeding economic development are (i) a lack of ability to recognize and seize the opportunity, and (ii) a lack of incentive to exploit the opportunity. In an open economy, opportunity is endogenous depending largely on one’s desire, vision and capabilities. Human capital in economic sense is defined as the capacity to recognize opportunity (i.e. the capacity to acquire and digest information, and to achieve certain economic goals). In Korea, “policy-augmented human capital”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industrial revolu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cy-augmented human capital refers to human capital that has competent leaders with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e combination of human capital as such with effective policies and strategies will create an environment where dormant innovative forces can be awakened and unleashed. Korea’s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explained by five propositions that support economic development. Firstly, human capital augmented by policies determines the specialization of products,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rade, and the pace of economic growth. Secondly, the national wealth is determined by the size and the portfolio of diverse productive industries which is a function of human capital. Thirdly, changing size and composition of a country’s portfolio of productive industries is an intended outcome of industrial policy. Fourthly, a prosperous economy has better chance of achieving democracy than vice versa. Finally, if human capital augmented by policy is a necessary condition,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is a sufficient conditio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