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nstitution and Economics Association

한국제도·경제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제도와 경제


pISSN: 1976-3697

제도와경제, Vol.17 no.4 (2023)
pp.1~32

DOI : 10.30885/RIE.2023.17.4.001

새마을 ‘집단’ 운동의 성공 원리 : 마을 간 성과 차이에 기반한 보상적 및 처벌적 선택적 유인

좌승희

(박정희학술원 원장)

이성규

(국립안동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본 논문은 새마을 ‘집단’행동이 대규모 집단행동에서 상존하는 개인들의 무임승차 욕구에도 불구하 고 ‘경제적 차별화 지원정책’에 기반한 ‘보상적 및 처벌적 선택적 유인’을 통해 성공하였음을 고찰하 는데 있다. 새마을운동의 신상필벌에 기반한 ‘경제적 차별화 원리’는 행동경제학의 ‘이익 및 손실 프레이밍’과 집단행동이론의 ‘보상적 및 처벌적 선택적 유인’과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다. 새마을운 동의 ‘경제적 차별화 원리’는 ‘이익 및 손실 프레이밍’이나 ‘보상적 및 처벌적 선택적 유인’과 유사하게 무임승차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새마을 ‘집단’운동을 성공시킬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의 성공 원리는 ‘마을주민들’, 주민들의 조직체로서 ‘마을조직’을 이끌어 주민들의 무임승차 욕구를 방지 및 감시하는 ‘새마을 지도자’, 마을의 성과를 평가하고 지원정책을 차별화하는 ‘정부’가 삼위일체가 되어 자조·자립하는 마을을 돕는 ‘경제적 차별화 전략’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마을주민들, 마을조직, 정부의 경제적 차별화 기능의 교집합(交集合)이 새마을운동의 성공 요인이었다. 집단행동이론의 핵심 통찰력에 따르면 하나의 분명한 공동이익을 가진 대규모 집단들 에서 회원들에게 ‘선택적 유인’을 제공하지 못하면 회원들의 무임승차 욕구로 공동이익의 실현을 위한 집단행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집단행동의 불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새마을 ‘집단’운동 은 (1) “잘 살아 보자”라는 ‘집단재’(collective goods)와 (2) “근면·자조·협동”이라는 ‘집단정 신’(collective spirit), (3) “새마을 교육”이라는 ‘집단교육 서비스’(collective education service) 의 공급, 그리고 (4) “성과에 따른 경제적 차별화”라는 ‘보상적 및 처벌적 선택적 유인’(selective incentive)을 통해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었다. 새마을 집단행동은 ‘성과에 따른 차별적 지원’이라 는 강력한 유인으로 집단행동이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 실제적 사례이다.

Success Principles of the Saemaul Collective Movement : Rewarding and Punishing Selective Incentives Based on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Villages

Sung-Hee Jwa

Sung-Kyu Le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aemaul collective action was successful through ‘rewarding and punishing selective incentives’ based on economically differentiated support policy, despite the free-riding desire of individuals that exists in large-scale collective a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inciple of economic differentiation” of Saemaul Undong(Movement) is in line with the gain and loss framing of ‘behavioral economics’ and the rewarding and punishing selective incentives of ‘collective action theory’. The economic differentiation principle of the Saemaul movement was served to make the Saemaul collective movement successful in Korea by effectively solving the free-riding problem. The success principles of Saemaul Undong relies on the concerted efforts of the trinity of (i) ‘village residents’, (ii) ‘village organization’ of residents led by ‘Saemaul leader’ who monitors and prevents residents’ desire to free ride, and (iii) ‘government’ that evaluates village performance and differentiates support policies. The government adopted an economic differentiation strategy that helps only those self-help and self-reliant villages. Therefore, the intersection of the economic differentiation functions of village residents, village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was the success factor of the Saemaul Undong. According to the core insight of collective action theory, if large groups with a clear common interest fail to provide selective incentives to members, collective action to realize the common interest will not occur due to the members’ desire to free ride. Despite this impossibility of collective action, the Saemaul collective movement was able to succeed through the four key factors: (1) collective goods of “let’s live well”, (2) collective spirit of “diligence, self-help, and cooperation”, (3) collective service called “Saemaul spirit(mindset) education,” and (4) selective incentives of rewards and punishments based on the “performance differentiation” between villages. Thus, the Saemaul collective action is a new and practical example that shows non-failing with the powerful incentive of ‘differentiation of support policy’.

Download PDF list